컨텐츠상세보기

[실천문학의 시집 135] 무화과는 없다 : 김해자 시집 (커버이미지)
북레일
[실천문학의 시집 135] 무화과는 없다 : 김해자 시집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해자 
  • 출판사실천문학사 
  • 출판일2006-08-2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회복되고 확장된 여성성을 무기로 하여 시인은 굴곡의 시대를 거쳐온 자신을 끊임없이 되돌아보고 있다.

대부분의 여성 시인들의 목소리가 남성위주사회에 대한 비판이나 상대적 상실감을 무기로 활용하고 있거나, 아예 남성적인 목소리를 냄으로써 반남성주의의 대안적 모색을 성취하고 있는 현실을 전제로 할 때, 저자가 여성문제를 접근하는 방법과 형태는 새로운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저자의 첫시집인 『무화과는 없다』는 우리 사회의 여성문제를 정면으로 파고들면서도 남성성에 기대거나, 남성성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문학이 가난한 자의 편이던 시절을 기억한다. 하지만 아직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문학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분명한 것은 그것이 가난한 자의 계층적 변화가 아니라 문학의 형식적 변화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현실과 문학과의 괴리는 문학적 요소의 감각과 환상을 도구로 하여 급속히 진행한다. 여기서 김해자의 여성성이 갖는 타협없는 사랑을 발견하게 된다.



지금도 깃을 세운 잠바를 보면/시가 보인다(중략)/작업하다 말고 초크로 쪽가위로 새긴 시/(중략)/뒤에서 쪽가위 두드리는 소리에 놀라/칼라와 함께 기워버린(「심지에 쓴 시」부분) 이러한 고백과 노동하는 여성에 대한 노래는 「넝쿨 장미」「미싱사의 노래」「남아 있는 자」「배부른 여자」 등, 이 시집 전편에 걸쳐 계속된다.

그것은 모성의 위대함을 획득한 포용과 불변성을 매개로 하여, 시단의 희소성으로 해서 오히려 값진 김해자 시의 절정이다.

저자소개

1961년 목포 출생으로 고려대 국문학과 졸업

90년부터 〈인천노동자문학회〉에서 시작 활동

1998년「내일을 여는 작가」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제8회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하였고,

현재는 진보생활문예지「삶이 보이는 창」발행인으로 일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여자, 강바닥 같은
한밤중 | 사람 숲에서 길을 잃다 | 모래알에게 | 현공사 | 여자, 강바닥 같은 | 시간의 꽃
밤비 | 수많은 나 | 눈이니까 더러워진다 | 배고픈 코알라를 위한 변명 | 송림동 카바레의 추억
빈 항아리 | 낙타는 발밑을 보지 않았다 | 거북에 대한 명상 | 기다림

제2부 무화과는 없다
심지에 쓴 시 | 개나리 | 무화과는 없다 | 승리는 애초에 꿈꾸지 않았으니 | 넝쿨 장미
미싱사의 노래 | 남아 있는 자 | 배부른 여자 | 노래를 잊은 새 | 삼투막 | 솔잎은 봄에도 지더라
생리 | 진눈깨비 | 허물로 남은 노래

제3부 마음, 어찌할 수 없는
케미라이트 사랑법 | 배추 애벌레처럼 | 사랑은 | 사이 | 마음, 어찌할 수 없는
시대의 혹 | 전태일과 창가에서 | 청춘의 노래 | 목련꽃 옆에 눕다 | 문규현
변산 앞바다에서 | 수월(水月) | 엎드리니 보인다 | 흔적 | 뿌리가 뿌리인 이유 | 앓이

제4부 내 마음의 계단
채송화 | 월미도에서 | 어머니의 밥상 | 내 마음의 계단 | 은행꽃을 본 적은 없어도
겨울, 압구정 | 혀는 고전주의자 | 아스팔트의 이리 | 반거충이 | 게놈 복제 주문
고리 | 목욕탕 속의 명상 | 철교에 고깃덩어리처럼 걸린 아이가

제5부 하나이며 전부인 나
하나이며 전부인 | 서울역 비둘기 | 살아야 쓴다 | 箭枝 | 대우우중(大宇雨中) | 위가 간에게 | 나무
나무, 아미타불 | 연 | 언 시(言詩) | 나이테 | 봄꽃 | 아름다운 복수 | 한강은 흐른다 | 아우라지 길을 따라

▧ 해설 | 노동자와 시인, 그리고 김해자 (김정환)
▧ 후기

한줄 서평